윈도우, AI 에이전트로 진화

Share

윈도우, AI 에이전트와 로컬 AI 앱 지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다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자 컨퍼런스인 Build 2025에서 선보인 미래 비전은 매우 흥미롭습니다. 마치 챗봇이 사용자를 대신해 PC를 사용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죠. 이러한 비전은 이미 현실에 가까워진 것으로 보입니다.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의 등장

마이크로소프트의 이러한 구상은 Anthropic이 개발한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MCP는 AI 앱이 다른 앱 및 웹 서비스와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 소스 프로토콜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곧 챗봇, 즉 "AI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PC에서 실행되는 앱에 연결하여 사용자를 대신해 앱을 조작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윈도우의 미래, 로컬 AI 앱 지원 강화

윈도우의 미래는 여기서 멈추지 않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에서 로컬 AI 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더 이상 Copilot+ PC만을 위한 기능이 아닌, 모든 윈도우 PC 사용자에게 AI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죠.

챗봇을 통한 윈도우 제어의 가능성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전이 현실화된다면, Copilot, ChatGPT, Perplexity와 같은 AI 챗봇을 통해 "포토샵을 열고 [특정 작업 수행]", "스포티파이에서 재생 목록 생성 및 구성", "[특정 앱]에서 정보 가져오기", "PC에서 [특정 유형의 파일] 검색"과 같은 명령을 내릴 수 있게 됩니다. 챗봇은 PC의 앱에 연결하기 위한 권한을 요청하고, 연결이 완료되면 사용자를 대신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는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MCP를 지원할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고려한 설계

마이크로소프트는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설정 앱에서 시스템의 각 앱에 대해 이 기능을 켜거나 끌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또한, 챗봇은 앱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항상 요청해야 하며, 사용자는 반드시 권한을 부여해야 합니다. 이 모든 것은 개발자가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선택한 앱에서만 작동하며,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챗봇에 요청할 때만 작동합니다.

개발자를 위한 데모

이번 데모는 주로 개발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Copilot을 사용하여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에 Fedora Linux 배포판을 설치하고, 그 안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AI가 Linux 시스템을 설치하고 구성하는 데 필요한 올바른 명령을 찾아내고, 사용자를 대신해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죠. 더 이상 명령어를 복사-붙여넣기 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AI 에이전트 접근 방식의 심층 분석

마이크로소프트가 제안하는 방식은 기존의 "에이전트" AI 솔루션보다 훨씬 진보적입니다. 이전 솔루션들은 컴퓨터 화면을 보고 클릭하거나 입력할 내용을 결정하는 방식에 의존했습니다. 반면, MCP는 AI 챗봇이 기존의 윈도우 PC 앱과 직접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챗봇은 Spotify 앱에 노래를 드래그 앤 드롭하는 대신, 더 간단한 형태로 Spotify 앱에 지시를 내릴 수 있습니다.

MCP 서버와 레지스트리

기술적인 측면에서, 마이크로소프트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을 MCP 서버로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는 AI 모델과 수행하는 작업 간의 다리 역할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윈도우에는 MCP 레지스트리가 제공되어 Copilot, ChatGPT, Perplexity와 같은 앱이 PC에서 실행 중인 사용 가능한 MCP 서버를 검색하고 (사용자 권한으로) 연결하여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AI-PC 보안 요소

AI 에이전트가 PC에서 앱을 사용하기 전에 권한을 얻어야 한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권한을 부여한 후 특정 요청을 처리하는 동안에는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마이크로소프트는 MCP 보안에 대한 자세한 블로그 게시물을 통해 다양한 보안 위협을 고려하고 있음을 밝혔습니다. 예를 들어, AI는 수행한 작업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여 사용자가 감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새로운 권한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는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AI 앱에 옵션으로 노출될지 제어할 수 있습니다.

NPU를 넘어선 AI 기능

마이크로소프트는 NPU(신경망 처리 장치)가 탑재된 경량 노트북으로 로컬 윈도우 AI 기능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중단했습니다. Copilot+ PC 접근 방식과 관련 Copilot 런타임으로 인해 윈도우가 강력한 GPU 하드웨어와 CPU를 활용하지 못한다는 점을 인정한 것이죠. Build 2025에서 마이크로소프트는 Windows ML을 발표했습니다. Windows ML은 저전력 NPU, 고성능 GPU, 표준 CPU 등 다양한 윈도우 PC에서 AI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설계된 런타임입니다.

윈도우 AI 파운드리

마이크로소프트는 또한 "Windows Copilot 런타임의 진화"라고 불리는 Windows AI Foundry를 발표했습니다. Copilot+ PC를 위해 설계된 AI 기능이 앞으로 더 많은 윈도우 PC에서 제공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대목입니다. 윈도우는 곧 새로운 랩톱의 NPU뿐만 아니라 모든 하드웨어에서 AI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맺음말

마이크로소프트가 제시하는 윈도우의 미래는 AI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PC에 있는 앱을 깊이 있게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앱 개발자가 클라우드 서버가 아닌 PC의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AI 기능을 만들 수 있는 더 많은 방법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제 남은 것은 이 모든 것이 현실에서 어떻게 구현될지 지켜보는 것입니다.

You may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