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AI 에이전트 시대로의 전환을 가속화: Build 2024 심층 분석
마이크로소프트가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Build 2024’에서 AI 에이전트 중심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며 AI 생태계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챗GPT와 코파일럿을 넘어, 사용자의 지시를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AI 에이전트 시대를 예고하며 기업 환경을 중심으로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전략과 핵심 기술, 그리고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히 분석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웨이브 2: AI 에이전트의 중심 허브
마이크로소프트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웨이브 2를 통해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하고 채팅, 메모, AI 에이전트가 통합된 중심 허브를 구축합니다. 특히 코파일럿 서치 기능은 사용자에게 더욱 풍부하고 심층적인 정보 접근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업 고객은 자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조직에 특화된 에이전트와 AI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으며, 법무 부서의 합병 제안서 자동 작성과 같이 특정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 (MCP): AI 에이전트와 윈도우 애플리케이션의 연결
마이크로소프트는 AI 에이전트가 윈도우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는 초기 코파일럿에서 약속했던 기능이 현실화되는 단계로, AI 에이전트가 윈도우 환경 내에서 더욱 강력하고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윈도우 AI 파운드리 및 윈도우 AI 파운드리 로컬을 통해 개발자들이 로컬 환경에서 LLM을 실행하고, 사용자 PC에 최적화된 AI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AI 에이전트: 자율적인 작업 수행의 핵심
AI 에이전트는 사용자가 지시한 작업을 스스로 완료하고, 필요한 경우 반복 수행까지 가능한 자율적인 시스템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웨이브 2에는 리서처와 애널리스트 에이전트가 우선 제공될 예정입니다. 리서처는 사용자와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애널리스트는 데이터 분석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데이터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코파일럿의 진화: 검색, 메모리, 그리고 창작
마이크로소프트는 코파일럿 서치와 코파일럿 메모리 기능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고자 합니다. 코파일럿 서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저널리스트에게 유용한 정보를 요약 및 정리하여 제공하며, 코파일럿 메모리는 사용자가 문제를 해결했던 과정을 기억하고 보여줌으로써 지속적인 학습과 발전을 돕습니다. 또한, GPT-4o 모델 통합을 통해 이미지 내 텍스트 생성 능력을 강화하여 더욱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미래를 위한 투자: AI 에이전트 기반 환경 구축
마이크로소프트는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과 앱 액션 기능을 통해 윈도우를 AI 에이전트 중심 환경으로 진화시키고 있습니다. 윈도우에 통합된 MCP는 AI 에이전트가 윈도우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될 수 있는 표준화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에이전트 중심 상호작용에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윈도우 AI 파운드리와 AI 파운드리 로컬을 통해 개발자들이 로컬 환경에서 AI 모델을 빠르게 실험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결론
마이크로소프트는 AI 에이전트 시대로의 전환을 통해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고자 합니다. Build 2024에서 공개된 다양한 도구와 기술은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AI가 우리의 삶과 업무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임을 시사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지속적인 투자와 혁신은 AI 생태계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미래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