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Build 2024, AI 에이전트 시대 개막

Share

마이크로소프트, AI 에이전트 시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다: Build 2024 심층 분석

마이크로소프트가 연례 개발자 행사 ‘Build 2024’에서 AI 비전을 구체화하며, 단순한 생성형 AI를 넘어 자율적인 AI 에이전트 시대로의 전환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챗GPT, 코파일럿과 같은 도구를 넘어, 사용자의 업무를 스스로 처리하는 AI 에이전트가 기업 환경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될 전망입니다. 이번 행사에서 공개된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그 의미와 미래 전망을 짚어보겠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웨이브 2: AI 에이전트 중심 허브

마이크로소프트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웨이브 2'를 통해 기존 오피스 애플리케이션을 AI 에이전트가 통합된 중심 허브로 진화시키고 있습니다. 채팅, 메모 기능이 강화되고, 코파일럿 서치 기능이 추가되어 사용자들은 더욱 효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특히 기업 고객들은 자사의 데이터를 활용해 조직에 특화된 AI 모델을 직접 학습시킬 수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법무 부서라면 합병 제안서나 면책 조항 문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AI 에이전트를 구축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 윈도우와 AI 에이전트의 연동

마이크로소프트는 AI 에이전트가 윈도우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는 초기 코파일럿에서 약속했지만 아직 본격적으로 구현되지 못했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또한, 개발자들을 위해 윈도우 AI 파운드리(Windows AI Foundry) 및 윈도우 AI 파운드리 로컬(Windows AI Foundry Local)을 선보이며, LLM이 로컬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복잡한 코드 조정은 마이크로소프트가 담당하고, 사용자의 PC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AI가 작동하도록 돕는 것이 목표입니다.

AI 에이전트의 등장: 리서처와 애널리스트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웨이브 2에는 '리서처(Researcher)'와 '애널리스트(Analyst)'라는 AI 에이전트가 우선적으로 제공됩니다. 리서처는 고도화된 '딥 리서치'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와 아이디어를 주고받으며 작업을 전개합니다. 애널리스트는 데이터 분석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를 위해 데이터를 회의용으로 정리해주는 등, 복잡한 명령 없이도 데이터를 의미 있는 형태로 자동 구성해줍니다. 파워BI(PowerBI)에서도 데이터에 대해 질문하는 '쿼리' 기능이 개발 중인 것을 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생성형 AI 기능을 효과적으로 통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코파일럿 서치와 코파일럿 메모리: 지속적인 AI 경험

마이크로소프트는 6월 중으로 코파일럿 서치와 코파일럿 메모리 기능을 순차적으로 도입할 계획입니다. 코파일럿 서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나 저널리스트의 추천 내용을 AI가 수집해 요약·정리해줍니다. 코파일럿 메모리는 단순한 검색 기록을 넘어, 사용자가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기억하고 보여줍니다. 이는 현재의 생성형 AI가 가진 일회성 대화 구조의 한계를 극복하고, AI가 사용자의 경험을 지속적으로 기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시도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를 '에이전틱 메모리(agentic memory)'라고 부르며, 단순한 기록이 아닌 생물학적 기억처럼 작동하는 AI를 구현하고자 합니다.

GPT-4o 통합과 업무 자동화 전략

마이크로소프트는 코파일럿의 '크리에이트(Create)'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오픈AI의 최신 모델 GPT-4o를 통합할 예정입니다. GPT-4o는 이미지 내 텍스트 생성에 강점을 가지고 있어, 더욱 풍부하고 의미 있는 콘텐츠 제작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튜닝(Microsoft 365 Copilot Tuning)을 통해 사용자는 AI가 허용 범위 안에서 데이터를 학습하여 반복적인 업무를 대신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 문서 처리, 시장 조사, 규정 준수 모니터링 등 다양한 업무 자동화를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AI 에이전트 미래를 위한 밑그림

마이크로소프트는 장기적으로 AI 에이전트 기반 환경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을 통해 윈도우를 AI 에이전트 중심 미래(agentic future)에 맞춰 진화시키고 있으며, '앱 액션(App Actions)' 기능을 도입하여 AI 에이전트가 윈도우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될 수 있는 표준화된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또한, 윈도우 AI 파운드리(Windows AI Foundry)를 통해 개발자들이 새로운 AI 모델을 빠르게 실험하고, 이를 로컬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는 AI 개발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AI 기술의 혜택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결론

마이크로소프트는 Build 2024를 통해 AI 에이전트 시대로의 전환을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습니다. 코파일럿 웨이브 2, MCP, 윈도우 AI 파운드리 등 다양한 도구와 기술을 통해 사용자들은 더욱 효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고, AI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AI 에이전트가 업무 환경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그리고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앞으로 더욱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You may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