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인터넷 이론: 음모론을 넘어선 현실
죽은 인터넷 이론(Dead Internet Theory)은 음모론으로 치부되곤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 내용이 점점 더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이 이론은 정부나 기업이 봇과 AI 생성 콘텐츠를 이용해 인터넷을 장악하고, 여론을 조작하려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습니다. 얼핏 황당하게 들릴 수 있지만, 실제 인터넷 콘텐츠의 상당 부분이 AI에 의해 생성되고 있다는 사실은 간과할 수 없습니다.
AI가 지배하는 인터넷 세상
2025년 중반, 새롭게 생성되는 온라인 콘텐츠의 약 74%가 AI나 봇의 도움을 받아 만들어졌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즉,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콘텐츠는 전체의 1/4에 불과하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더욱 가속화되어 연말에는 AI 생성 콘텐츠가 90%를 넘어설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죽은 인터넷 이론의 핵심은 음모론적인 주장이 아니라, 실제로 인터넷이 AI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는 현실입니다.
실리콘 밸리의 이해관계
조지 칼린의 말처럼 "이해관계가 수렴될 때는 굳이 음모가 필요하지 않다"는 말처럼, 실리콘 밸리에서는 AI 콘텐츠 생산에 대한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지고 있습니다. 팟캐스트 제작 회사인 Inception Point AI는 OpenAI, Perplexity, Claude, Gemini 등 다양한 챗봇을 활용하여 5,000개 이상의 팟캐스트 쇼를 제작했습니다. AI "페르소나"를 통해 단 1달러의 비용으로 에피소드를 제작하고 광고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입니다. 이들은 AI 페르소나를 인간으로 생각하는 착각에 빠져 있으며, 미래에는 지구 인구의 절반이 AI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봇이 만든 콘텐츠의 홍수
Inception Point AI뿐만 아니라 PodcastAI, Wondercraft AI, Jellypod 등 여러 회사들이 AI를 이용한 팟캐스트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동영상 분야에서는 T-Series, Sony SAB, SET India, Zee TV와 같은 회사들이 각각 2만 개에서 23만 개 이상의 동영상을 제작했습니다. 유튜브의 Creator AI Studios는 AI 자동 편집, 썸네일 생성, 장면 감지, 스크립트 생성 기능을 제공하여 누구나 쉽게 AI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Argil AI, RightBlogger, Team-GPT, Designs.ai와 같은 플랫폼은 카메라 없이도 AI 모델을 이용하여 틱톡 영상을 제작할 수 있게 해줍니다.
아마존을 점령한 AI 책
AI로 생성된 책 또한 급증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과거에 책 업로드 수를 하루 3권으로 제한해야 할 정도였습니다. 현재 아마존 킨들에 새로 등록되는 책의 70% 이상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AI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루에 최대 1,000권의 AI 책이 아마존에 업로드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완벽한 가짜 이미지의 등장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분야에서 AI 기술은 이미 "매우 좋음"에서 "완벽함"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특히 구글 제미니 2.5 플래시 이미지("나노 바나나"라고도 함)는 AI를 이용한 사진 제작 및 편집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이제 완벽한 가짜 이미지를 만드는 것은 일상이 되었습니다. 2022년 이후 150억 개 이상의 이미지가 텍스트-이미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으며, 현재 매일 약 3,400만 개의 새로운 이미지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미지는 광고,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전자 상거래, 패션,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가짜 뉴스, 선전, 스캠, 딥페이크 포르노, 아동 성 학대 자료 제작에도 악용되고 있습니다.
인간 vs 기계
AI 생성 이미지의 가장 큰 장점은 저렴한 비용입니다. 페이스북 연구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AI가 만든 이미지를 합성 이미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5년 마이크로소프트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73%가 AI 생성 이미지를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정확하게 식별한 비율은 38%에 불과했습니다. 몇 달 후면 온라인 콘텐츠의 99% 이상이 AI에 의해 생성될 것입니다. 우리는 빠르게 기계와 소통하는 세상으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과연 누가 이런 세상을 원했을까요?
인간 콘텐츠 우선순위 지정 요구
이제 우리는 콘텐츠 제공 회사에 책임을 물어야 합니다. 인간이 만든 콘텐츠를 우선시하는 서비스를 요구하고, 비용을 지불하거나, 독점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Kagi Search는 이미지 검색 필터링 및 라벨링 시스템을 통해 AI 생성 콘텐츠를 회피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DuckDuckGo 또한 이미지 검색 인터페이스에서 AI 생성 이미지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는 극히 드뭅니다. 구글은 AI 콘텐츠를 끄는 "NOPE" 버튼을 제공하지만, Microsoft Bing, Facebook, Instagram, Reddit, X, LinkedIn, Pinterest 등 다른 사이트는 AI 콘텐츠를 선택 해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결론
AI가 온라인 콘텐츠를 지배하는 시대, 우리는 인간이 만든 콘텐츠를 볼 권리를 요구해야 합니다. 살아있는 인간이 죽은 인터넷에 맞서 싸워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