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암호화폐 사기 소탕 작전: 미국, 국제 공조 강화
미국 정부가 동남아시아에서 기승을 부리는 암호화폐 관련 사기 조직을 소탕하기 위한 대대적인 작전에 돌입했습니다. 이번 작전은 버마(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등지에서 운영되는 사기 센터를 주요 목표로 하며, 미국은 국제 공조를 통해 사기 조직의 자금줄을 차단하고 피해자 구제에 나설 계획입니다.
'타격대' 출범과 주요 목표
미국 법무부, FBI, 비밀검찰국 등 여러 기관이 참여하는 ‘타격대(Strike Force)’가 출범하여 암호화폐 사기 근절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타격대는 수사, 기소, 제재, 자산 몰수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사기 조직을 와해시키고, 피해자들에게 배상금을 지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미 미얀마에 있는 주요 사기 웹사이트인 ‘타이 창’을 압수하고, 다른 사기 센터와 연결된 위성 단말기를 압수하기 위한 영장을 발부하는 등 적극적인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자금 세탁과 인신매매의 연결고리
존 헐리 미국 재무부 고위 관계자는 "버마에서 활동하는 범죄 네트워크는 온라인 사기를 통해 미국인들의 돈을 갈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는 인신매매에도 관여하고 있으며, 버마의 잔혹한 내전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발리에 본거지를 둔 사기 네트워크를 조사한 결과, 인도네시아 당국이 38명을 기소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했습니다.
4억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 몰수
암호화폐 압수팀은 4억 1600만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를 몰수했으며, 추가로 8천만 달러의 도난 자금에 대한 법적 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작전은 사기꾼들이 미국 인프라를 이용하여 시민들을 표적으로 삼는 것을 막고, 자산을 회수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타격대 소속 요원들은 태국 경찰청 등 현지 법 집행 기관과 협력하여 KK 파크와 같은 사기 센터를 단속하고 있습니다.
DKBA와 중국 조직의 연루
일부 조직적인 민족 단체, 예를 들어 민주 카렌 자비군(DKBA)은 이러한 범죄와 관련이 있습니다. 재무부는 DKBA와 관련 단체를 특별 지정 제재 대상(SDN)으로 지정하여 자산을 동결하고 거래를 제한했습니다. DKBA는 사기 근거지를 확보하고 인신매매된 노동자들을 착취하며, 여기서 얻는 수익은 조직 범죄 및 미얀마 내전에 관여하는 무장 단체를 지원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의 초국가적인 범죄 조직 역시 이러한 사기를 조직하는 데 연루되어 있습니다.
피해 사례 증가와 국제 공조의 중요성
미국 비밀검찰국에 따르면 암호화폐 투자 사기가 급증하고 있으며, 2025 회계연도에만 약 3,000명의 피해자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사기는 피해자들의 인생 저축을 잃게 하는 등 심각한 재정적 손실을 초래합니다. 이번 타격대 작전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해체하려는 미국의 의지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세계 암호화폐의 중심지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결론
미국의 ‘타격대’ 작전은 동남아시아에서 벌어지는 암호화폐 사기 근절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국제 공조를 통해 사기 조직의 자금줄을 차단하고 피해자 구제에 힘쓰는 것은 물론, 암호화폐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입니다. 미국이 암호화폐 산업의 글로벌 중심지가 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투명한 시장 환경 조성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과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