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조세 속 투자 전략, 11월 21일 마켓 분석

Share

일간 글로벌 마켓 지표 분석 (2023년 11월 21일) – 혼조세 속 투자 전략은?

11월 21일 오전 6시 현재 글로벌 마켓은 혼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향후 시장 방향성을 가늠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인베스팅닷컴의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지표들을 분석하고, 투자 전략을 제시합니다.

9월 고용지표 혼조와 연준 금리 인하 전망

연방정부 셧다운 해제 이후 공개된 9월 고용보고서는 시장에 혼란을 야기했습니다. 실업률은 소폭 상승했지만, 비농업 부문 고용은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습니다. 평균 시간당 임금 상승률은 지난달과 동일하게 유지되며, 뚜렷한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혼조세로 인해 시장은 10월 고용보고서에 더욱 주목하고 있으며, 연준의 12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낮아지고 있습니다. JP모간 역시 연준의 금리 동결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주요 경제 지표 발표와 시장의 반응

21일에는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 미시간대 인플레이션 기대치 및 소비자심리지수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 지표들을 통해 경기 흐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려 할 것입니다. CME 페드워치는 12월 FOMC 회의에서 금리 동결 가능성을 68.5%로, 25bp 인하 가능성을 31.54%로 예측했습니다. 이는 시장이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을 완전히 버리지는 않았지만, 동결 가능성에 더 무게를 두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뉴욕 증시: AI 버블 논란과 소비재 강세

미국 증시는 AI 버블 논란 속에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엔비디아의 어닝 서프라이즈에도 불구하고, 하이퍼 스케일러들의 대규모 채권 발행은 AI 인프라 구축 경쟁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엔비디아를 비롯한 반도체 및 AI 관련 종목들이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에너지 공급 관련주들도 동반 하락했습니다. 반면, 월마트의 호실적 발표에 힘입어 연말 쇼핑 시즌을 앞둔 소비재 관련주들은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블랙프라이데이가 소비심리 회복의 모멘텀이 될 수 있을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채 시장과 연준의 QT 종료

미국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4.085%로 하락했습니다. 연준의 매파적 발언이 시장을 짓눌렀지만, 연방정부 셧다운 해제와 연준의 양적긴축(QT) 종료 결정은 시장에 안정감을 가져다주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당분간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4%를 중심으로 변동성이 높은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통화 시장: 달러 강세와 비트코인 하락

달러 인덱스(DXY)는 보합세를 유지하며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이 달러 강세를 지지하고 있으며, 연준의 QT 종료가 달러 약세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비트코인 가격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며 8만7천 달러까지 떨어졌습니다. 연준의 매파적 스탠스와 달러 강세, 주식 시장 변동성 확대 등이 코인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원자재 시장: 유가 안정과 금 가격 박스권

WTI 원유 가격은 배럴당 59.27달러로 소폭 하락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협상 진행과 OPEC+의 증산 가능성 등이 유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국제유가는 배럴당 60달러를 중심으로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 가격은 온스당 4,077.70달러로 박스권을 지속했습니다. 달러화 보합세로 인해 금의 헤지 수요는 감소했지만, 중앙은행들의 실물 금 수요는 지속되고 있어 금 가격은 당분간 4,000달러에서 4,200달러 사이에서 움직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결론 및 투자 전략

글로벌 마켓은 혼조세 속에 다양한 변수들이 얽혀있는 상황입니다. 투자자들은 10월 고용보고서, PMI 등 주요 경제 지표 발표, 연준의 정책 방향, 블랙프라이데이 소비 동향 등을 주시하며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할 것입니다. 단기적인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도 좋아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