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44TB SSD, 지금이 구매 적기? 삼성 BM1743 초고용량 SSD 할인 정보 분석
최근 삼성의 초고용량 SSD, BM1743 61.44TB 모델이 파격적인 할인가로 판매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일반적으로 7,500달러에 판매되던 제품이 ServerSupply에서 5,950달러로 할인된 가격에 판매되고 있으며, 추가 할인을 적용하면 최종 가격은 5,593달러까지 내려갑니다. 이는 기가바이트당 0.09달러 미만으로, 현재 초고용량 PCIe Gen5 SSD 시장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가격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기회에 초고용량 SSD를 장만할 계획이 있다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삼성 BM1743 61.44TB SSD, 어떤 제품일까?
삼성 BM1743은 2.5인치 U.2 폼팩터의 엔터프라이즈급 SSD로, 읽기 작업에 최적화되어 설계되었습니다. PCIe 5.0 x4 NVMe 인터페이스를 채택하여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며, QLC V-NAND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높은 용량과 내구성을 확보했습니다. 최대 읽기 속도는 14,200MB/s, 쓰기 속도는 2,100MB/s에 달하며, 랜덤 읽기/쓰기 성능은 각각 850,000 IOPS와 30,000 IOPS를 기록합니다. 또한 TCG Opal 2.0 암호화, AES-XTS 256비트 하드웨어 암호화, 향상된 전력 손실 보호 기능, 종단 간 데이터 경로 무결성 등 다양한 보안 및 안정성 기능을 제공합니다.
일반 사용자도 사용 가능한가? 활용 방법은?
BM1743은 본래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을 위해 설계되었지만, USB 어댑터를 사용하면 일반 PC나 노트북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Sabrent EC-U2SA와 같은 어댑터를 사용하면 U.2 SSD를 USB 3.2 인터페이스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어댑터에는 고전력 소비를 처리하기 위한 12V/2A 전원 공급 장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어댑터는 TRIM 및 UASP를 지원하며, Windows 및 macOS와 모두 호환됩니다. 따라서 서버 구축 없이도 대용량, 고성능 스토리지가 필요한 파워 유저, 콘텐츠 제작자, 개발자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가격 정보 및 추가 할인 팁
현재 ServerSupply에 등록된 BM1743의 가격은 5,950달러이지만, 결제 시 5% 할인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또한, ServerSupply 모바일 앱을 사용하면 1%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어 최종 가격은 5,593달러까지 낮아집니다. USB 어댑터는 Amazon에서 Sabrent EC-U2SA 모델을 34.99달러(정상가 59.99달러)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초고용량 SSD를 고려하고 있다면,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성능 및 스펙 상세 분석
삼성 BM1743의 주요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PCIe 5.0 x4 인터페이스, 14,200MB/s의 읽기 속도, 2,100MB/s의 쓰기 속도, 850,000 IOPS의 랜덤 읽기, 30,000 IOPS의 랜덤 쓰기 성능을 제공합니다. 읽기 지연 시간은 150 마이크로초, 쓰기 지연 시간은 30 마이크로초입니다. TBW(Total Bytes Written)는 29,153TB이며, DWPD(Drive Writes Per Day)는 0.26입니다. 전력 소비량은 읽기 시 23.8W, 쓰기 시 24.7W, 유휴 시 5W입니다. 이러한 스펙은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해야 하는 환경에 적합합니다.
경쟁 제품과의 비교
현재 시장에는 다양한 고용량 SSD 제품들이 존재하지만, BM1743은 가격 대비 용량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할인 행사를 통해 기가바이트당 가격이 크게 낮아져, 비슷한 성능의 다른 제품들과 비교했을 때 훨씬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전력 소비량이 다소 높은 편이므로, 시스템 구성 시 전원 공급 장치의 용량을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맺음말
삼성 BM1743 61.44TB SSD는 뛰어난 성능과 초고용량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입니다. 특히 이번 할인 행사를 통해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하게 되었으므로, 대용량 스토리지를 고려하고 있다면 이번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전력 소비량과 발열을 고려하여 시스템 환경을 신중하게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