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쇼츠, 몰래 AI 필터 실험 논란! 제작자 동의 없는 ‘개선’ 괜찮을까?
최근 유튜브 쇼츠를 시청하면서 영상 속 인물의 피부가 지나치게 매끄럽거나, 움직임이 어색하게 느껴진 적이 있으신가요? 단순한 기분 탓이 아닐지도 모릅니다. 유튜브가 사용자 몰래 특정 영상에 AI 기반 필터를 적용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유튜브의 숨겨진 '개선' 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유튜브는 영상 업로드 시 콘텐츠 제작자의 동의 없이 AI 기반 도구를 활용해 영상을 '개선'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타 연주자이자 영상 제작자인 렛 셀을 비롯한 여러 사용자는 최근 업로드된 일부 영상에서 원 제작자가 의도하지 않은 광택과 부드러운 움직임이 눈에 띈다고 지적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필터가 영상 제작자에게 사전 고지 없이 자동 적용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전통적인 머신러닝' vs '생성형 AI', 용어의 함정
유튜브 측은 이번 실험에 대해 "생성형 AI는 사용하지 않았다"라며, "전통적인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흐릿함 제거, 노이즈 제거, 선명도 향상을 테스트하고 있다"라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용자가 AI와 머신러닝을 혼용해 사용하면서 실제 기술적 차이를 왜곡하고 있으며, '생성형 AI'라는 용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구글을 비롯한 기술 기업들이 이러한 혼용을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논란을 더욱 키우고 있습니다.
과거에도 있었던 과도한 필터링, 이번엔 유튜브 자체 실험?
피부나 질감이 지나치게 매끄럽게 처리돼 부자연스러운 인상을 주는 과도한 필터링은 과거에도 영화 클립을 틱톡이나 유튜브 쇼츠에 업로드할 때 종종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필터가 유튜브 자체 실험의 일환으로 적용됐다는 점이 다릅니다. 아스 테크니카는 유튜브의 새 필터가 사실상 기존 필터 도구를 더 광범위하게 적용한 것에 불과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창작자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행위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피부나 텍스처 같은 세부 묘사를 매끄럽게 만드는 작업은 본래 민감한 사안입니다. 콘텐츠 제작자에게 알리지도 않고 이런 시각적 변화를 가하는 것은 유튜브가 의존하고 있는 창작자들의 신뢰를 스스로 무너뜨리는 행위라 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는 창작자들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투명한 정보 제공을 통해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