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 AI 도입은 활발하나 신뢰 구축과 신기술 투자는 ‘아직’
한국 기업들이 높은 수준의 데이터 인프라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AI)에 대한 신뢰 구축과 신기술 투자에는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보인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SAS가 IDC에 의뢰하여 수행한 ‘데이터 및 AI 영향력 보고서: 신뢰가 이끄는 AI 시대’는 이러한 한국 기업의 AI 도입 현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를 통해 한국 기업의 AI 활용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AI 도입 수준은 높지만, 신뢰는 부족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기업의 AI 도입 수준은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많은 기업들이 이미 AI 기술을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에 적용하고 있으며,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AI 도입 수준에 비해 AI에 대한 신뢰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AI 모델의 투명성 부족, 데이터 편향 문제, 윤리적 고려 미흡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특히 AI 모델의 작동 방식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은 기업들이 AI를 전면적으로 신뢰하고 활용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신기술 투자와 윤리적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
한국 기업들은 AI 신기술 투자에도 다소 보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AI 기술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하면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AI 윤리에 대한 고려 없이 기술을 도입하고 활용할 경우 예상치 못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I 기술 투자와 함께 윤리적 문제를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거버넌스 체계 구축이 시급합니다. 기업들은 AI 개발 및 활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에 대해 사전에 충분히 검토하고,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AI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AI 신뢰도 향상을 위한 노력
AI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AI 모델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데이터 편향 문제를 해결하며, 윤리적 기준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모델 설명 가능성을 높이는 기술을 도입하고,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여 편향을 줄이며, AI 윤리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AI 시스템 개발 및 운영 과정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참여시켜 의견을 수렴하고, 사회적 합의를 기반으로 AI 기술을 발전시켜 나가야 합니다. 궁극적으로 AI 기술이 사회 전체의 이익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합니다.
맺음말
한국 기업은 높은 수준의 데이터 인프라를 바탕으로 AI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AI에 대한 신뢰 구축과 신기술 투자에는 아직 개선할 점이 많습니다. AI 모델의 투명성을 높이고, 윤리적 거버넌스를 구축하며,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AI 신뢰도를 향상시켜야 합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한국 기업들은 AI 시대를 선도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AI는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사회 전체의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